기출문제 해설
회계추정치에 대한 중요한 왜곡표시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감사절차(ISA 540-13) 본문
재무제표 작성은 발생주의에 기반하기 때문에 회계추정치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회계추정치는 과거에 실제로 발생한 결과가 아닌 미래의 추정치(대표적으로 충당부채)이기 때문에 중요한 왜곡표시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만약 중요한 왜곡표시위험을 식별하였다면 감사인은 국제감사기준에 명시되어있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서 대응해야 한다. 이때 감사인은 다음의 절차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해야한다.
1. 감사인은 경영진의 회계추정치를 도출하는 방법과 그 가정, 그리고 근거가 된 데이터를 테스트해야 한다. 예를 들어, 대손충당금에 중요한 왜곡표시위험이 있는 경우, 경영진이 대손충당금을 연령비율법에 따라 계산하여 금액을 측정하고 인식했다면, 감사인은 연령비율법과 그 가정이 합리적인지 여부를 평가해야 하며, 대손충당금을 추정하기 위해 쓰인 매출채권과 같은 금액들, 그리고 연령에 비례한 대손율 등을 테스트 할 수 있을 것이다.
2. 감사인은 이와 같은 실증절차와 함께, 경영진이 회계추정치 도출방법에 대한 통제의 운영효과성을 테스트한다.
3. 재무제표에 표시되는 경영진주장은 점추정치이기 때문에, 경영진의 점추정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감사인이 점추정치 또는 범위추정치를 도출한다.
4. 가장 간단한 절차는 감사보고서일까지 발생한 사건(후속사건)이 회계추정치에관한 감사증거를 제공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소송과 관련된 충당부채를 계상했는데, 재무제표일 이후, 감사보고서일 이전에 소송의 판결이 확정되었다면, 이는 회계추정치에 대한 확실한 감사증거가 될 것이다.
'CPA > 회계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룹재무제표감사 인트로 (0) | 2017.04.21 |
---|---|
내부통제 미비점에 대한 지배기구와 경영진의 커뮤니케이션 (0) | 2016.05.12 |
감사증거(Audit Evidence)란 무엇인가? (0) | 2016.05.11 |
통제테스트(Test of control)이란 무엇인가? (0) | 2016.05.11 |
내부통제의 한계(Limitations of Internal Control)와 그 원인은 무엇일까? (0) | 2016.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