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해설

감사증거(Audit Evidence)란 무엇인가? 본문

CPA/회계감사

감사증거(Audit Evidence)란 무엇인가?

Pour L'amour 2016. 5. 11. 22:39

감사증거란 감사의견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 감사 절차에 의해 수집되는 것을 말한다. 감사인은 충분하고 적합한 감사증거에 기초하여 감사의견을 형성하여야 하며, 그 정도에 따라 자신이 표명한 감사의견에 대한 확신의 수준이 달라진다. 이때 충분성은 감사증거의 양적 수준을, 적합성은 감사증거의 질적 수준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감사증거의 충분성, 적합성, 그리고 그 적합성의 세부항목인 관련성, 신뢰성에 대해 살펴본다.

 

1. 충분성

감사증거의 충분성은 감사증거의 양적 척도이다. 필요한 감사증거의 양은 중요한 왜곡표시위험에 대한 감사인의 평가해당 감사증거의 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 적합성

감사증거의 적합성은 감사증거의 질적 척도이다. 이는 다시말해서 감사의견의 근거가 되는 결론을 뒷받침할 때 감사증거의 관련성과 신뢰성을 의미한다. 감사증거의 충분성과 적합성은 동일한 수준의 확신을 제공한다는 상황 하에서 역의 관계에 있음과 동시에 이 둘은 보완적이다.

 

3. 관련성

감사증거는 제공하고자 하는 증거와 관련성이 높을수록 적합하다.

1) 감사절차의 목적이 매입채무의 과대계상 여부를 테스트하는 것이라면, 장부에 기록된 매입채무를 테스트하는 것이 관련성 있는 감사절차가 될 수 있다. 이는 경영진주장의 실재성을 테스트하는 경부로서 역진법 접근을 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의미이다. 이와 달리, 매입채무의 과소계상 여부를 테스트 하는 것이라면, 후속적인 지급거래, 미지급된 송장, 매입처 계산서 그리고 일치하지 않는 검수보고서 같은 정보를 테스트하는 것이 관련성이 있을 것이다. 이는 경영진 주장의 완전성을 테스트하는 것으로서 전진법 접근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2) 주어진 감사절차들은 경영진의 특정한 주장에는 관련성이 있는 감사증거를 제공할 수 있지만, 다른 주장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고기간말 후 매출채권의 회수에 관한 문서를 조사하는 것은 실재성과 평가에 관한 감사증거를 제공할 수 있지만, 기간귀속에 관한 감사증거는 제공할 수 없다.(ISA 500-A27)

 

3) 재고자산의 실재성(Q)과 같은 특정 경영진주장에 대하여 감사증거를 입수하는 것은 다른 경영진주장, 예를 들면, 동 재고자산의 평가(P)에 관한 감사증거를 입수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서로 다른 원천으로부터 입수되었거나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감사증거들이 종종 동일한 경영진주장과 관련성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출채권 조회를 한다면, 이는 실재성과 관련이 있음과 동시에 권리와 의무 또한 확인할 수 있다.

 

4. 신뢰성

감사증거 자체의 신뢰성은 그 원천과 성격, 그리고 그 증거의 작성과 유지에 대한 통제에 영향을 받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