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재무관리 (4)
기출문제 해설
선물거래전략에는 헷지, 투기거래, 차익거래가 있다. 1. 헷지(Hedge) : 현물자산의 가격변동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전략 선물을 이용한 헷지의 원칙은 현물시장에서 취하는 포지션과 동일수량, 동일금액의 반대포지션을 선물시장에서 취해야 한다는 것이며, 헷지전략은 크게 매입헷지와 매도헷지가 있다. -매입헷지 : 매입헷지는 현물시장에서 매도포지션에 있는 투자자가 선물계약을 매입함으로써 가격변동위험을 제거하는 것이다. 현물시장에서 매도포지션에 있다는 것은, 현물자산을 공매했다거나, 미래에 현물을 보유하려한다는 의미다. 영어의 short이 ~이 부족한 이라는 의미를 상기시키면, 매도포지션에 있다는 것은, 지금 현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매도헷지 : 매도헷지는 현물시장에서 매입포..
오늘 풀 문제는 목표베타관리 관련 문제인데요, 먼저 목표베타관리의 공식을 알아보겠습니다. 공식의 도출 과정은 생략하고 공식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N은 매입해야할 선물계약수 입니다. S는 헷지대상 현물의 총가치입니다. 즉, 보유주식수에 주가를 곱한 것이지요! F는 지수선물 1계약의 가치입니다. 즉, 지수선물지수에 거래단위승수를 곱한 것이지요! 베타T는 목표베타입니다. T는 target의 T임을 알면 쉽지요 베타SI는 CAPM의 그 베타입니다. 자, 문제를 풀어볼게요! 투자자 리스크씨는 주당 5만원이고 베타계수가 3인 주식 10,000주를 보유하고 있다. 그는 3개월 동안 보유중인 포트폴리오의 베타계수를 4로 높힘으로써 이익을 얻고자 한다. 이때 그가 매입 또는 매도해야 할 주가시수 선물의 계약수..
주가지수선물은 "S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시장이 존재하지 않을 때 "I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S,I,F 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S = 현물 = 헷지대상인 주식 I = 주가지수 = S가 속해져있는 시장의 시장포트폴리오 F = 선물 = 기초자산을 I(S 아닙니다. 주가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 이때 S,I,F의 관계는 다음과 같아요 베타 SF Security의 Futures에 대한 민감도 베타 SI Security의 Index에 대한 민감도 즉, CAPM의 그 베타! 베타 FI Futures의 Index에 대한 민감도 (그런데 보통 주가지수가 변함에 따라 거의 그와 정비례하여 주가지수선물이 변하기 때문에 베타FI는 1이라고 가정합니다.)
자본금이 액면가 500원인 보통주 10,000주로 구성되어있고, 주가가 주당 2,500원인 (주)한국은 기존의 사업을 확장하는 데 필요한 500만원을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려고 한다. 우리사주조합에서는 신주발행 물량의 일부를 할인된 가격에 배정해줄 것을 회사에 요청했지만 신주인수권은 모두 기존 주주에게 소유지분 비례대로 배정될 것이다. 신주인수권은 주식과 분리되어 시장에서 별도로 거래된다. 신주의 발행가격이 주당 2,000원으로 결정되고, 신주인수권의 가격이 80원인 경우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유상증자와 관련된 모든 비용은 무시하고 기존 주주들이 신주 인수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데는 아무런 제약이 없다고 가정한다. ① 기존 주주의 기업지배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도적으로 기존주주가 아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