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삶 (73)
기출문제 해설
회계의 기본 원리는 복식부기이며, 복식부기가 단식부기와 다른 근본적인 차이는 계정을 이용하는데 있으며, 계정을 이용하므로 이중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계정 : 특정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을 각 항목별로 독립적으로 설정하고 해당항목의 증감을 가져오는 거래를 기록하는 장소 2. 회계거래의 결과 금액의 '증가'는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채, 자본이 위치하는 방향과 손익계산서의 수익, 비용이 위치하는 방향과 계정의 기입방향은 일치. '감소'는 반대 방향으로 계정에 기입 3. 정상잔액 :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의 각각의 계정에 증가, 감소를 가져오는 회계거래의 결과에 대한 잔액으로 나타나는 금액으로 자산, 비용의 정산잔액은 차변, 부채, 자본, 수익의 정상잔액은 대변에 나타난다. 4..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수익 및 비용의 인식기준은 발생기준이다. 발생기준회계에서 수익은 실현주의 원칙에 따라 인식하며, 비용은 관련된 수익의 인식시점에 보고된다. 이를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이라 한다. 이때 실현의 개념은 현금의 회수 뿐만 아니라 현금으로의 전환가능성이 확보된 자산, 예를 들면 매출채권을 회수한 경우에도 실현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시점을 수익이 실현된 시점으로 본다. 예를 들어, 발생기준회계를 채택하고 있는 부동산회사가 5월중에 건물의 매매를 중개하고 그 수수료를 7월중에 받은 경우에도 5월의 수익으로 보고한다. 현금의 유출을 동반하는 어떠한 회계거래가 미래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높은지, 신뢰성있게 추정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라서 당해 회계거래는 자산의 인식 혹은 비용의 ..
전통적으로 회계의 목적은 경영자가 자신의 수탁책임을 기업의 소유주에게 보고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오늘날에는 기업의 투자자, 채권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계담당자는 여러 가지 절차를 체계적으로 설계하여 운용하고 있는데, 이를 종합적으로 회계 시스템이라고 부른다. 회계정보의 이용 주체에 따라서 회계는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이중에서 특히 기업 외부의 정보이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일반목적의 재무제표 작성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회계를 재무회계라 한다. 이 때, 기업의 특정기간 동안의 경영활동을 간결하게 요약하여 나타내는 일반 목적의 재무보고서를 재무제표라고 하고, 재무제표에는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