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해설

표준종합원가계산 본문

CPA/원가회계

표준종합원가계산

Pour L'amour 2016. 7. 13. 18:37

표준원가계산은 개별원가계산보다 종합원가계산과 결합되었을 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납니다. 개별원가계산을 적용하는 기업은 고객의 주문에 따라 형태나 크기,품질 등이 서로 다른 다양한 제품들을 생산해야 하므로 기초에 표준수량과 표준가격을 설정하는 것이 어렵지만, 종합원가계산을 적용하는 기업은 동일한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므로 표준수량과 표준가격을 상대적으로 쉽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표준종합원가계산은 종합원가계산에 표준원가계산을 적용한 원가계산방법이므로 종합원가계산과 표준원가계산의 원가계산절차 및 원가차이분석방법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다만, 원가차이분석에서는 당기의 실제원가와 당기의 실제산출량에 허용된 표준원가를 비교하여야 정확한 원가차이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기초재공품이 존재한다면 당기 작업과 전혀 관련이 없는 기초재공품은 총산출량에서 제외하여 당기의 실제산출량을 계산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원가차이분석을 위해서는 선입선출법에  의하여 완성품환산량을 계산하여야 합니다.

 

1단계 : 물량흐름을 파악합니다.

2단계 : 선입선출법을 적용하여 당기의 실제환산량을 측정합니다.

3단계 : 원가요소별로 배부대상원가 요약

4단계 : 원가요소별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 계산 - 표준종합원가계산에서는 완성품환산량단위당원가를 별도로 계산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기초에 설정된 단위당 표준재료원가와 표준가공원가가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재료원가와 가공원가가 되기 때문이다.

5단계 : 완성품원가와 기말재공품원가 계산 - 완성품원가는 완성품수량에 단위당 표준원가를 곱한 값이다.

 

공손품이 존재할 경우에는 정상공손원가는 정상품원가에 가산하고, 비정상공손원가는 기타손익으로 처리한다. 다만, 표준종합원가계산에서는 비정상공손원가는 비정상공손차이계정을 설정하여 통제하는데, 이점이 일반적인 종합원가계산과의 차이점이다.

 

공손수량이 정상공손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정상공손이 발생하는데, 정상공손허용량보다 공손이 더 많이 발생하였으므로 이때의 비정상공손원가는 불리한 공손차이가 되며 기타비용으로 처리한다. Vice Versa

 

 

'CPA > 원가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품과 부산물의 원가계산 중 균등이익률법  (0) 2017.08.05
원가계산방법 정리 및 표준원가계산  (0) 2016.07.13
표준원가-2  (0) 2016.07.04
표준원가-1  (0) 2016.07.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