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 해설
전문가적 의구심이란 오류나 부정에 의한 왜곡표시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는 상황에 유의하면서 의심하는 마음(questioning mind)과 감사증거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critical assessment)를 포함하는 태도이다. 여기에는 이미 입수한 다른 감사증거와 상반되는 감사증거가 존재하는지, 감사증거로 사용될 문서 및 질의에 대한 답변의 신뢰성에 의문을 갖게 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 부정의 존재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는 조건이 있는지 주의를 유지하는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문가적 의구심은 감사의 전 과정에 걸쳐 유지되어야 하는데, 이는 비경상적 상황의 간과와 같은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필요하다. 감사인은 문서의 진위 여부까지 판단할 책임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사인은 감사증거로 사..
감사문서화란 감사인이 수행한 감사절차, 입수한 관련 감사증거 및 감사인이 도달한 결론에 관한 기록을 말한다. 이러한 감사문서는 종이, 전자, 혹은 기타 매체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된 국제감사기준의 내용 및 실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감사문서화의 목적 ISA 230 문단 2~3 감사문서의 소유권 및 이에대한 제약 ISA 500 문단 A23 감사문서의 예시 및 구분 실무상 구분 감사문서의 내용과 형태 ISA 230 문단 8 감사문서의 내용 및 형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ISA 230 문단 A2 최종감사파일의 취합 (1) 감사문서화의 목적 ①감사인의 전반적인 목적의 달성에 관한 결론의 근거 ②감사가 감사기준과 관련 법규의 요구사항에 따라 계획되고 수행되었다는 사실 입증 (=정당한 주의의무를 했..
공급시기란 재화,용역의 공급이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시간적 기준으로서 세금계산서의 발급, 부가가차세의 거래징수 및 신고납부시기 등을 결정하는 요소이다. 1. 일반적 기준① 재화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 재화가 인도되는 때② 재화의 이동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 재화가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③ 위 ①과 ②를 적용할수 없는 경우 : 재화의 공급이 확정되는 때(∵권리의무 확정주의) 2. 거래형태별 공급시기 (원칙 (1) (4) 특례)(1) 인도기준을 적용하는 거래 구분 공급시기 ① 현금판매, 외상판매, 단기할부판매 재화가 인도되거나 이용가능하게 되는 때 ② 상품권 판매 재화가 실제로 인도되는 때(not 상품권인도시) ③ 재화의 공급으로 보는 가공 가공된 재화를 인도하는 때(not ..